Surprise Me!

[현장 카메라]비좁은 물범바위 자리싸움…“인공쉼터 이용해 주세요”

2021-04-05 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매년 봄이면 백령도를 찾아오는 귀여운 손님, 천연기념물 점박이 물범을 위해 인공 쉼터를 만들어 놓았습니다. <br> <br>의도대로 물범들이 잘 활용하고 있는지 여현교 기자가 점검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인천에서 4시간 정도 배를 타고 들어와야 하는 서해안 최북단 섬 ‘백령도’입니다. <br> <br>국내에서 점박이물범이 가장 많이 서식하는 곳이기도 한데요. <br> <br>정부가 이곳에 조성한 인공쉼터, 잘 관리되고 있는지 현장으로 갑니다.<br> <br>백령도 선착장인 용기포항에서도 다시 작은 배를 타고 들어가면 나오는 점박이물범 서식지. <br> <br>바위위에 옹기종기 올라와 있는 점박이물범들이 보입니다. <br> <br>배를 뒤집고 누워 있기도 하고 가만히 햇살을 쬐며 털을 말리기도 합니다. <br> <br>수영을 하며 물과 바위 위를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. <br><br>점박이물범들은 겨울에 랴오둥만으로 이동해 새끼를 낳고, 봄이면 다시 백령도 등으로 돌아와 가을까지 서식합니다. <br><br>"포유류인 점박이물범은 호흡과 체온조절을 위해 이렇게 주기적으로 바위위에 올라와 쉬어야 합니다." <br> <br>하지만 바위가 협소한 상황.<br><br>특히 여름철이 되면 좁은 바위 위로 100 마리 넘게 모여듭니다. <br><br>"기존 점박이물범들이 올라와 쉬는 물범바위인데요 이곳은 자리가 부족해 약한 개체들이 밀려나기도 합니다." <br> <br>[지역 어민] <br>"먼저 편안한 자리를 찾기 위해서 올라와서 싸우기도 하고 그래요. (자리가)부족하니까." <br> <br>그래서 정부가 지난 2018년 예산 18억원을 들여 기존 물범바위 인근에 바위섬처럼 생긴 인공쉼터를 조성했습니다. <br><br>조성한지 6개월 정도 뒤 촬영했던 모습입니다. <br><br>그런데 2년이 지난 요즘도 인공쉼터에 올라와 쉬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. <br><br>해양수산부가 관련 단체를 통해 물범들이 인공쉼터에 올라왔던 횟수를 확인해 보니, 조성한 다음해에는 7번, 2020년에는 5번 정도였습니다.<br> <br>물범들이 모여드는 기존 물범바위와는 비교 되는 상황. <br> <br>백령도 내 모니터링단과 전문가들은 크게 2가지 이유를 꼽습니다. <br> <br>[이승호 / 한국종합연구소] <br>"일단 인간의 간섭이 없어야 하고요. 소음, 진동 이런 거에 굉장히 민감하잖아요." <br> <br>실제로 인공쉼터에서 불과 100m 정도의 거리에서, 어민들이 작업중입니다. <br> <br>[지역 어민] <br>“다시마 메는 날은 작업복 입고 저기까지 들어가서 채취하는 거 같던데. <br> <br>[지역 어민] <br>"사람들이 오면 다시 내려가. 자기들을 건드릴까봐. 사람을 무서워하니까." <br> <br>[지역 어민] <br>"쉼터엔 안 올라와 아직. 갈매기 쉼터야 갈매기 쉼터." <br> <br>또 지난해 태풍으로 인해 모양이 변형된 것도 요인으로 꼽히는데, <br> <br>해수부는 조만간 보수공사를 실시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[박신영 / 백령고등학교 물범동아리] <br>“일반 바위들과 달리 인공 쉼터에 작은 돌로 만들어졌는데 그게 파도에 따라서 돌이 움직이면서 고르지 못해서요” <br> <br>어민들도 점박이물범도,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단 의견도 나옵니다. <br> <br>[김정운 / 인천녹색연합] <br>"어민들도 어떻게 우리가 배려를 할 수 있을까, 그리고 물범들도 저기를 어떻게 잘 이용을 할 수 있을까 서로의 시간이 필요하겠다 라는 게…" <br><br>최근 충남 가로림만에서도 물범 보호를 위한 관련 조례안이 통과된 상황이여서, <br> <br>백령도 인공쉼터가 성공적 사례가 될 수 있을지 세밀한 진단이 필요해 보입니다.<br> <br>현장카메라 여현교입니다.<br> <br>1way@donga.com <br>PD 김종윤 석혜란

Buy Now on CodeCanyon